<창덕궁에서 만나는 우리 과학>을 읽고 줄거리, 저자 소개, 느낀 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법궁은 아니었지만, 태종 이후 많은 왕들의 거주지가 되면서 300년 동안 조선의 왕들이 기거하면서 나랏일을 보았다. 창덕궁은 자연의 지형을 훼손하지 않고 궁을 지었기 때문에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높이 평가받는다. 1997년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줄거리
'창덕궁', 법궁은 아니었지만, 조선 임금들에게 가장 사랑받은 궁으로 많은 왕들이 이곳에서 살았다. 창덕궁은 자연과 참 잘 어우러진 궁으로 자연이 함께하는 집이요, 시대를 살아간 당시의 흔적들이 함께 녹아있는 곳이다. 창덕궁은 처음에는 왕들의 휴식을 위한 궁궐인 별궁으로 지어졌지만,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보다 먼저 복구되었다. 창덕궁은 산과 언덕 등 자연의 모양새에 따라 최소한의 손길만 더하여 자유롭게 궁궐을 배치한 자연미가 느껴진다. 이런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높이 평가받았고, 시대별 궁궐의 변화가 잘 나타나 있어 1997년에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창덕궁'하면 후원이 유명한데, 보물 제1763호인 '부용정'은 둥근 하늘, 네모난 땅, 그 사이에 있는 인간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우주관을 형상화 했다. 뿐만 아니라 비가 아무리 많이와도 넘치지 않도록 설계했다. 창덕궁의 중심건물인 '인정전' 역시 국보로 지정되어 있고 인정전 앞마당은 경사지게 만들어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했을 뿐 아니라 석영, 백운모가 섞인 화강암으로 박석을 깔아 앞마당을 환하게 밝혀주게 했고, 임금의 목소리가 반사되어 맨 뒤편에서도 그 소리가 들리도록 설계하였다. 창덕궁에서 가장 큰 다리인 금천교는 무지개 기둥으로 다리의 무게를 기둥에 골고루 분산시키도록 하였다. 금천교는 초창기 모습 그대로 보전되어 있다. 그 외 창덕궁 굴뚝, 낙선재 아궁이, 건물의 환기구, 단청, 창의정과 태극정, 청의정 등 곳곳에 과학이 숨어 있다.
저자 소개
이화여자 대학교에서 과학교육과를 졸업한 김연희 작가는 1962년 진해에서 태어났다. 석사 및 박사 학위는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 철학 협동과정에서 받았다. 과학에 관심이 많았고, 개항 이후 정부에 의해 도입된 근대 과학과 기술에 관한 책을 여러 편의 논문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서울대 자동화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있으며, 대학에서 '동서양 과학기술과 문명'을 가르치고 있다. 지금은 한국 전통 과학과 근대 과학 도입에 대한 어린이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책들을 저술하고 있기도 하다. 현재 국립고궁박물관 자문위원회 부위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논문으로는 <한국 근대과학형성사>, <전신으로 이어진 대한제국, 성공과 좌절의 역사>, <창덕궁에서 만나는 우리 과학>, <하늘, 땅, 사람을 담은 세종대왕의 과학이야기>, <수원 화성에서 만나는 우리 과학>, <과학사 명장면>, <한역 근대 과학기술서와 대한제국의 과학> 등이 있다.
느낀 점
우리의 아름다운 창덕궁 속에 숨어있는 다양한 과학의 원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설명하고 다. 창덕궁의 건물 구성이 조선의 성리학에 비춰 자연을 헤치지 않으면서 자연과 어우러지는 삶에 대한 철학이 잘 녹아 있다. 자연과 어우러지기 위해서는 자연을 잘 다스려야 했고, 자연을 잘 다스리려면, 과학적인 지혜가 꼭 필요했을 것이다. 역시, 창덕궁에는 곳곳에 과학이 숨어 있었는데, 아무리 많은 비가 와도 넘치지 않도록 설계한 부용정의 연못, 마이크 없이도 멀리 있는 사람에게 임금님의 목소리가 들리도록 구성된 인정전, 날씨가 어두운날에도 조명과 같은 역할을 했던 인정전 앞마당, 무거운 다리를 받치고 있는 아름다운 무지개 다리 금천교, 유교의 자연에 대한 생각이 잘 드러나있는 태극정과 청의정, 최고의 나무인 소나무로 지어진 건물들과 건물을 아름답게하고 비로부터 보호하는 단청들, 건강한 건물을 위해서 꼭 있어야 하는 통풍구, 굴뚝과 아궁이들, 솥단지 모양의 해시계 앙부일구와 화강암을 통째로 물로 깎아 만든 불로문 등으로 아름답게 형성된 창덕궁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관리받고 있는 세계인의 문화재가 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