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1

<돌고 도는 돈> 도서 줄거리, 저자 소개, 느낀점 을 읽고 도서 줄거리, 저자 소개, 느낀 점에 대하여 적어 보고자 한다. 돈은 자본이고 자본은 이자와 본전을 더한 말이다. 즉 생산의 밑거름이 되는 생산수단은 자유로운 시장경제체제 속에서 빛을 발할 수 있다.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통해 사적 이익 추구를 위해 최선을 다한 결과는 자신이 가져갈 수 있는 사유재산이 보장될 때, 더없이 풍성한 결과를 맺을 수 있다. 줄거리 매일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돈은 사실 돈 그 차제만으로는 아무 일도 할 수 없다. 하지만,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그 돈이 물건이나 용역의 가치를 교환하는 용도로 사용하게 되면 돈은 힘을 가지게 된다. 원하는 것을 살 수 있고, 앞날을 대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럼 언제부터 돈이 사용된 것일까? 처음엔 돈이라는 것이 없었다. 그때는 사람들이.. 2023. 4. 22.
<나는 북한에서 온 전학생> 도서 줄거리, 저자 소개, 느낀점 을 읽고 도서 줄거리, 저자 소개, 느낀 점에 대하여 적어 보고자 한다. 민철이는 엄마와 함께 탈북했다. 비록 하나원을 통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훈련을 하였지만, 막상 현실에서의 삶은 쉽지 않다. 하지만, 지혜, 번대 아저씨, 우여곡절 끝에 친구가 된 형주와의 사이가 좋아지면서 조금씩 웃는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줄거리 함경북도 무산에서 살다가 1년 전에 탈북해 한국에 정착하게 된 민철이는 엄마와 둘이 살고 있다. 하나원과 쉼터를 거쳐 남한에 적응하는 법을 배우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한국의 모든 것이 어색하기만 하다. 한국의 한 초등학교에 들어간 민철이는 학교의 급식문화, 영어수업과 영어학원, 게임기 등에 적응해 나간다. 학교에서 자신을 은근히 괴롭히는 형주도 신경 쓰이지만, 민철이가 신경 쓰이는 또 다.. 2023. 4. 18.
<경국대전을 펼쳐라> 도서 줄거리, 느낀점, 경국대전 전후의 법 도서 줄거리, 느낀 점, 경국대전 전후의 법에 대하여 적어보려고 한다. 엄격한 유교의 나라 조선은 백성을 다스리는 것에 있어서도 엄격한 법으로 다스리기를 원했다. 그래서 세조 때부터 만들기 시작한 조선의 독자적인 법은 그 손자인 성종 16년인 1484년 이르러 반포되었다. 이로써 조선은 유교적 법치국가로 자리를 확고히 하였다. 도서 줄거리 조선 최고의 법전인 경국대전을 통해 조선 시대를 살았던 우리 조상들의 삶을 전달해 주고 있다. 법에 따라 모든 일을 처리하고 다스리려 했던 나라, 조선!. 경국대전의 법규 중 탐관오리에 대한 처벌, 조선시대 노처녀의 결혼에 대하여, 삼복제, 공노비의 출산휴가, 과거제도 등에 대하여 재미있게 기록해 놓았다. 서자 치국이는 자신이 서자라 과거시험에도 응시할 수 없고, 아버.. 2023. 4. 17.
<이제부터 세금은 쌀로 내도록 하라> 도서 줄거리, 저자 소개, 느낀점 도서를 읽고 줄거리, 저자 소개, 느낀 점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한다. 조선 땅에서는 큰 전쟁이 4번 있었다. 이로 인해 명나라와 왜는 왕조가 바뀌고, 조선은 경제, 사회, 문화적인 면에서 큰 변화를 겪는다. 그중 세금을 쌀로 낼 수 있도록 대동법이 공포되면서 백성들의 부담이 많이 줄어들게 되었다. 줄거리 조선 중기에는 임진왜란, 정유재란, 정묘호란, 병자호란이라는 큰 전쟁이 10년 간격으로 총 4번 우리 땅에서 있었다. 이로 인해 조선 사회도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백성의 10분의 1 정도 되는 6~7만 명이 청나라로 끌려갔다. 죽은 사람까지 합치면 그 수는 말도 할 수 없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도망친 노비들도 많아 노비들이 주인에게 무조건 복종해야 한다는 생각도 많이 .. 2023. 4. 16.